올해 탈북자 북송반대 추진을 위해 여러 단체가 기금을 마련해왔다. 현재까지 제법 많은 사람이 여기에 동참했다. 공개를 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알 길은 없지만 이들 북송반대 단체들이 그렇게 해서 모은 돈이 꽤 많을 것이다. 궁금한 것은 그 돈이 다 어디로 갔느냐는 점이다. 결과를 놓고 볼 때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말이다.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탈북자들을 돕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중국 공안에 잡혔다가 북송이 되지 않은 탈북자는 거의 없다. 가까스로 구해낸 몇 사람이 전부라고 한다. 그것도 기부금을 받은 단체가 한 일이 아니란다. 자비를 들여 어렵게 구해낸 경우가 대부분이다.

북송반대를 위해 자금을 모으는 것 자체를 반대할 이유는 없다. 중국에서 붙잡혀 북으로 돌아가는 탈북자를 살릴 유일한 수단은 돈뿐이다. 중간에서 브로커를 통해 빼내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에는 북한 당국에서 위장 탈북자를 탈북자들 틈에 넣어 붙잡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브로커의 위험 부담도 몇 배는 더 커졌다. 위험부담 때문에 그만큼의 돈이 더 들어간다는 얘기다.

이런 이유로 돈을 모았다면 원래의 목적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기금이 모였다면 성과를 내든지, 성과를 내지 못했다면 도로 돌려주거나, 실적이 좋은 단체에 힘을 보태야 한다. 그런데 자기 사무실이나 유지하는 데 돈을 사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심심찮게 떠돌고 있다.

한편으론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정부가 북송 문제에 직접 관여하기가 어렵다면 좋은 성과를 내는 단체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민간단체가 막상 좋은 기회를 잡아도 자금이 없어서 그대로 북송을 지켜봐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다. 이럴 때 정부에서 미리 브로커 비용을 일괄적으로 선지원하는 방식도 주효할 것이다. 물론, 그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은 마련해야 한다.  

탈북자 구출은 현실적으로 볼 때 결국 민간이 음성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렇다면 정부가 화끈한 지원을 해야 한다. 난립하는 단체에 대한 교통정리도 필요하다. 민간 지원 기금으로는 한계가 있고, 그 돈이 대체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행동이 절실한 시점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