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행정안전부, 통계청)
[천지일보=지유림 기자] 국제결혼의 증가 등으로 한국에 정착하려는 다문화가정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열 가정 중 한 곳은 다문화가정이 되는 등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민자의 존재는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이 같은 다문화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정착과 자녀세대의 성장도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해 1월에 발표한 혼인통계에 따르면 2003년 국내 총 결혼 건수는 30만 2503명이다. 이 중 2만 4776명(8.2%)이 국제결혼 건수다.

해마다 건수를 보면 2010년에는 32만 6104명 중 3만 4235명(10.5%)이, 2011년에는 32만 9087명 중 2만 9762명(9.0%)이 국제결혼으로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1월 행정안전부(행안부)가 발표한 외국인주민현황조사를 통해 결혼이민자의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한국계 중국인(29.8%)이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인(27.5%), 베트남인(19.8%), 필리핀인(5.7%), 일본인(5.1%), 몽골인(1.4%), 태국인(1.3%), 대만인(0.5%) 순이었다.

이처럼 해마다 국제결혼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 정착은 쉽지만은 않다.
이들이 겪는 가장 대표적인 어려움에는 언어와 문화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강복정 다문화가족본부 본부장은 “우리나라 사람은 목소리 톤, 몸짓에도 의미가 있다”며 “음식을 먹거나 인사를 나눌 때 등 모든 생활에서 언어 소통이 안 되면 결국 가족 관계의 갈등으로 번진다. 이런 작은 갈등이 해소가 되지 않으면 나중에는 큰 문제가 된다”고 설명했다.

이뿐 아니라 낯선 생활환경에 적응하는 것과 근로 문제도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다.

지난 6일 서울시가 ‘외국인을 위한 찾아가는 이동상담’을 통해 외국인 3536명의 고민을 조사한 결과 노무 분야가 60.1%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의료·산업재해 등 보건·복지 분야는 30%, 출입국 관련 교육·문화 관광 등의 분야에서는 9.9%로 나타났다.

한편 다문화가정이 늘어남과 동시에 이혼율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1년 이혼통계에 따르면 2003년 국제 결혼한 2만 4776명 중 2012명(1.2%)이 이혼했다. 2010년에는 1만 1088명(9.5%)가, 2011년에는 11만 4284명 중 무려 1만 1496명(10.1%)이 이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서 국제결혼을 한 10쌍의 부부 중 1쌍이 이혼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이혼한 가정의 이주민 여성은 본국으로 돌아가야 할까?

이에 대해 강 본부장은 “자녀의 유무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가 없고 이혼 사유가 결혼이민자에게 있으면 본국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자녀(미성년)가 있는 경우에는 한국에서 살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강 본부장은 “하지만 아이의 양육권을 받지 못하면 본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다만 2년 안에 국적을 취득해 우리 국민이 되면 상관은 없다”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