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우리네 역사에 대해 얼만큼의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묻고 싶은 요즘이다. 이는 물론 우리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기도 하다.

최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모든 문서와 성명에서 ‘(일본군)위안부(comfort women)’라는 표현을 쓰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클린턴 장관이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 대신 제시한 용어는 ’강제적인 성 노예(enforced sex slaves)’다. 이와 같은 표현에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무상이 즉각 반박하고 나서면서 위안부에 대한 문제가 다시금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

며칠 전 미국 넬슨 리포트는 클린턴 장관이 ‘일본군에 의한 성 노예’ 문제는 인간성에 반하는 것으로 국제적으로 공인된 범죄라는 측면에서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위안부 문제는 제3국이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우리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다. 또한 위안부라는 용어 자체도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일깨우고 드러내기에는 적확한 표현이 아니다. ‘위안’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위로하여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라는 것을 안다면 우리의 어린 소녀들이 일본군들을 위로할 하등의 이유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그들 스스로가 원해서 한 일도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의 죄상을 일깨우고 밝히기 위해서 일본어 ‘위안부’를 직역한 표현을 쓰는 것이라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우리의 역사의식의 부재와 무관심에서 비롯된 문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클린턴 장관이 지적한 ‘강제적인 성 노예’라는 말 자체가 주는 어감이 거북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용어의 표현이 무엇이든간에 우리 정부가 아직도 위안부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더 이상 일본 정부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 역사를 바로잡지 않는다면 외려 더 일본 정부의 눈치를 보게 될 것이다. 자기네 역사도 바로잡지 못하는 민족에게, 잘못한 것에 대한 사과도 받아내지 못하는 한 나라의 정부에게 그 어느 나라가 자신의 잘못을 회개하고 자복한다는 말인가. 아직 늦지 않았다.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회개가 있을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더욱 힘써주기를 바라는 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