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민지 기자] 일본의 한 산부인과가 체외수정한 수정란의 모든 염색체를 조사하는 불임 치료법으로 신생아 16명의 출산을 도운 것으로 확인돼 ‘생명 선별’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고베시의 A클리닉은 2011년 2월~2012년 5월까지 97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비교유전체보합법(CGH) 기술을 이용한 착상 전 유전자 진단을 했다.

이 중 39명이 임신해 16명이 아기를 한 명씩 낳았다. 현재 20명은 임신 중이고, 3명은 유산했다.

착상 전 진단은 체외 수정한 수정란이 배반포로 성장했을 때 일부 세포를 꺼내서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CGH법을 이용한 착상 전 진단은 과거 염색체 일부를 조사하는데 그쳤던 것에서 더 나아가 모든 염색체를 조사해 거의 정확하게 이상 염색체를 발견할 수 있는 새 기술이다. 문제는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수정란은 제거하기 때문에 생명의 선별이나 다운증후군 등 장애인의 존재 부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이유로 CGH 기술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을 이용하면 임신율이 상당히 높아진다. 일반적인 체외 수정 임신율은 39세를 평균으로 했을 때 25% 정도지만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한 여성의 임신율은 73.6%로 3배에 달한다.

A클리닉을 통해 CGH법 유전자 진단을 받은 여성들의 연령은 28~45세다. 이들은 과거 수정란 염색체 이상으로 착상하지 못했거나 유산을 되풀이해왔다.

일본 산부인과학회는 중증 유전병 환자 등에 한해서 착상 전 진단을 허용하고 있지만, 일반 불임환자에게는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클리닉 원장은 2002년부터 착상 전 진단을 해왔고, 최근에는 CGH법도 이용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원장은 또 “염색체 이상이 있는 수정란은 착상하기 어렵고, 착상해도 유산으로 끝나는 게 현실이다. 생명을 만들려는 기술일 뿐,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최근 이 방법으로 30대 초반 산모가 임신한 사례가 보도된 바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