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과 2011년 에딘버러 페스티벌에 참가해 큰 성공을 거둔 옹알스의 멤버들.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소품과 무대장치를 맡은 조수원(33), 소리파트의 최기섭(33), 기술파트 조준우(34), 비주얼(자칭)을 맡은 채경선(32). [사진=김성희 기자] ⓒ천지일보(뉴스천지)

저글링ㆍ마술ㆍ마임ㆍ비트박스 등 ‘퍼포디언’으로 세계 남녀노소 모두 웃겨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대사 한마디 안하고도 사람들을 배꼽 잡게 만드는 개그맨 4인방 옹알스(조수원, 채경선, 조준우, 최기섭). 이들은 퍼포먼스와 코미디를 혼합한 ‘퍼포디언’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매년 8월 전 세계 유명 예술인들이 모이는 세계적인 예술축제 ‘에딘버러 국제페스티벌’에서 옹알스는 2010년에 한국 개그팀으로는 최초로 참가해 최고 평점인 별 5개를 받았고, 2011년에는 2년 연속 최고 평점과 함께 약 2000개 팀 중에서 ‘TOP 12’ 안에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그간 에딘버러 페스티벌에서 한국팀은 난타 정도가 큰 성공을 거뒀다. 개그 부문에선 옹알스가 최초로 참가해 아무도 예상치 못한 놀라운 성과를 거두며 세계에 대한민국 코미디의 힘을 알린 것.

옹알스는 언어장벽을 고려해 재치 있는 입담보다는 저글링, 마술, 마임, 비트박스 등의 다양한 청각적 효과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한 옹알스식 개그는 해외에서 먹혔다. 코디미 한류의 붐이 일길 꿈꾸며 외로이 홀로 국내외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옹알스.

이들 4인방을 서울 사당동 소재 지하연습실에서 만났다. 그간 전용 연습실조차 없어 운동장이나 낮에 공연이 없는 대학로 소극장을 빌려 어렵게 연습을 해왔다. 최근에는 자신들만의 연습공간을 얻게 됐다. 세계를 향해 힘찬 도약을 위한 날개짓을 하고 있는 옹알스와 그동안 겪었던 ‘희로애락’의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 처음에는 장애우들을 위해 기획됐다고 하던데, 어떤 의도에서 시작한 건지.

조준우: 처음부터 장애인 친구들을 위한 개그를 만들어야 되겠다는 취지는 아니었고, 정확히 말씀드리면 개그콘서트에서 활동하는 개그맨과 함께 장애인 봉사활동을 가게 됐는데 모두에게 웃음을 드려야 하는 상황이 있었다. 한국에서 인기 있는 코미디는 말로 하는 코미디이기 때문에 같은 한국인이었지만, 언어의 장벽을 느꼈다. 하지만 우리는 웃음을 줄 수 있었다. 눈으로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것을 보여줬더니 반응이 있었다. 공연이 끝난 후 말이 통하지 않는 곳에 가서도 웃음을 줄 수 있겠단 생각이 들어 2009년 에딘버러 페스티벌에 사전답사를 가면서 해외공연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개콘(2007년)에서 6개월 정도 한 코너로 있었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중동과 유럽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국내에서 주목받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며, 반대로 유럽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 그 비결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조수원: 대한민국의 코미디 흐름은 스탠딩코미디다. 말로써 풀이해 나가는, 즉 쉽게 말하면 말장난 개그다. 절묘한 타이밍과 센스가 돋보이는 그런 위주의 코미디이고, 우리도 방송 할 때 80% 이상이 그랬다. 우리가 하는 퍼포디언 장르에 대해 우리나라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스케치 코미디라 한다. 스토리 하나로 그림을 그려 나가듯이 전개하는 방식이라 한국에선 조금 식상해한다.

어떻게 보면 스토리 하나로 그려나가면서 전개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한국에선 조금 식상해한다. 왜냐면 슬랩스틱 코미디(소란스러운 희극)랑 비슷하게 다가오는 게 사실이다. 이것이 한국에서 주목받지 못한 가장 큰 이유다. 그러나 이걸 가지고 우리나라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 갔을 때는 효과가 좀 많이 있었다. 사실 달리 생각하면 우리나라가 참 대단한 나라 같다. 어떤 개그를 보더라도 ‘쟤가 뭐 할 것 같아’, 예능을 보더라도 ‘쟤가 어떤 애드리브를 할 것 같아’라고 일반적인 시민들도 다 생각을 하고 본다. 이 같은 생각 자체를 다른 나라 친구들은 생각을 못한다. 한국 사람들이 두뇌 회전이 정말 빠른 것이다. 그래서 유럽에서 공연을 하면 외국인들은 ‘그게 왜 이렇게 해서 이렇게 나왔어?’라는 반응이라 육하원칙에 의해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 웃는다. 부연설명을 하지 않으면 이해를 못한다.

채경선: 우리도 선배들의 코미디를 보면서 배웠고, 그렇게 활동을 해왔기에 외국에선 어떻게 웃기는지 몰랐다. 그런데 실제 나가보니까 정말 우리나라가 개그 쪽에서는 시대를 너무 앞서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외국인에게는 천천히 보여주고 설명을 해줘야 ‘와~’하고 웃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설명이 없어도 빠르게 받아들인다. 차이점이 확연히 있다.

최기섭: 오히려 지금 한국에서 하는 것처럼 영국에서 하면 영국인들이 못 알아듣는다. 반대로 영국에서 하던 걸 한국에서 하면 또 유치해 하고 지루해 한다. 그게 다르다. 한국은 너무 빠르니깐 빠르게 해줘야 하고, 영국은 빠르게 하면 못 알아들어서 느리게 해줘야 한다.

▲ 서울 사당동 소재 지하연습실에서 가진 옹알스와 인터뷰에서 멤버들이 재치 있는 입담을 과시하며 다들 웃고 있다. 왼쪽부터 최기섭, 채경선, 조수원, 조준우 [사진=김성희 기자] ⓒ천지일보(뉴스천지)

- 2009년 영국 길거리 공연을 시작으로 해외에 진출하게 됐다. 그곳에서 일본팀을 보고 자신감을 얻은 것이 해외진출의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던데.

조수원: ‘장애우들도 웃겼는데, 우리가 못 웃길 게 뭐가 있겠어’하며 공연 소품 몇 개 챙겨서 갔다. 이렇게 아무렇지 않게 시작을 했는데, 가까운 일본팀이 도움을 많이 줬다. 별로 안 웃겨서였다. 그걸 보니 에너지가 넘쳐났다.

채경선: 일단 가봤더니 처음엔 못 알아들었다. 다 영어로 하니깐. 다른 사람은 웃고 있는데 우리는 가만히 있는 상황이 된 것. 그래서 ‘우린 어떻게 해야 하나’ 이러면서 돌아다니는 찰나에 일본개그맨들이 공연하는 것을 보게 됐다. 정서가 우리랑 가장 비슷하고 그들도 말을 안 하고 몸으로 웃기고 있었다. 그걸 보는데 사람들이 많이 웃는 것이다. ‘저 정도가 웃긴 건가. 우리가 봤을 땐 아닌데, 우리가 더 웃긴데’라는 생각이 들면서 자신감을 얻고 온 것이다.

실제 바로 길거리에서 공연을 했는데, 1번 성공하고 1번 실패했다. 사람들을 모아놓고 ‘한국에서 온 코미디언이다’고 하면서 몸으로 웃기는데 그날 처음에는 땀 좀 많이 흘렸다. 퍼포먼스를 바꿔가면서 자신감도 얻고, 이렇게 하면 될 것 같다는 영감을 얻고 왔다.

돌아와서 자문을 구하고 물어도 보고 싶었는데 아무도 시도한 사람이 없었다. 아무리 알아봐도 알려주는 사람도 없었고, 해본 사람도 없었기 때문에 무조건 맨땅에 헤딩하듯이 부딪쳐 본 것이다.

- 연출자가 ‘옥동자’ 정종철 씨인데, 해외 진출 시 어떤 조언을 해줬나.

조수원: 정종철 씨가 원래 우리와 같이 해외에 가기로 했는데 셋째가 태어나는 바람에 못 갔다. ‘미안하다 친구야, 후배들아’하면서 우리들에게 거금(?) 7원을 통장으로 입금해줬다.

채경선: 내가 약간 장난으로 ‘저희들 외국 가게 돈 좀 주세요’라고 하면서 계좌번호를 보냈다. 그랬더니 ‘그래 알았다 보내주마’해서 통장에 찍힌 걸 봤는데 7원이 입금됐더라. 자기 통장의 맨 끝자리를 0원으로 만들려고 그냥 우리에게 털어낸 것이었다. 하하

조수원: 그러면서 하는 얘기가 ‘돈은 지원을 못해 주지만 내 보물을 보내겠다’해서 옥동자 씨의 후계자이면서 제자였던 최기섭 씨를 보내줬다. 사실 (최기섭 씨가) 옥동자 씨에게 배웠으니 우리는 실력이 조금 미덥지 않았다. 그래도 같이 합류해서 소리파트를 계속 공연하고 있는데, 이 친구도 나이를 먹다보니 7원보다 못한 친구가 되어가고 있다. 하하.

조준우: 종철이(옥동자)형이 현재는 응원을 많이 해주고 조언도 많이 해준다. 연습하라고 장비도 사준다. 든든한 버팀목이다. 

-②편에서 계속-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