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무조건 만들고 보자는 식”… 실효성 논란

[천지일보=이솜 기자] 공공기관들이 많은 비용을 투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의 상당수가 국민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공공앱’이 무분별하게 만들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중앙부처와 산하기관, 지자체에서는 각각 100개가 넘는 공공앱을 만들었다.

지난해 12월 기준 미국 61개, 영국 32개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숫자다. 그러나 공공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앱의 양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랭키닷컴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앱 장터에 등록된 36개 공공기관(공사 제외)의 모바일 앱 중 500위권에 포함된 것은 ‘기상청 날씨’뿐이었다.

특히 공공기관 앱 분야 10위권에도 들지 못한 앱으로는 ‘대한민국 정부’ ‘청와대’ ‘행정안전부 민원24’ ‘서울시청 서울맵’ 등 굵직한 기관의 앱도 상당수였다.

공공앱의 실효성은 지난 2010년 12월 연합뉴스와 안형환 전 의원이 정부 부처 및 광역자치단체를 상대로 앱 개발 현황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 데서부터 논란이 된 바 있다.

1년 후인 지난해 12월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현안보고서인 ‘공공앱 현황과 발전방안’을 통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됐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앱 가운데 다운로드 횟수 1만 건 이상은 12개, 10만 건 이상은 11개로 나타났다. 1천 건 미만도 7개에 달했다.

또 대부분 운영기관이 앱 개발사로부터 데이터 측정 통계 자료를 수집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수집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으로 드러나 ‘일단 만들고 보자’는 식이 아니냐는 비난을 받았다.

여기에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앱 개발 비용이다. 일부 앱들은 콘텐츠의 질에 비해 너무 과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제기됐다. 2010년 기준 중앙정부의 경우 15억 6690만 원, 광역단체의 경우 10억 6600만 원을 개발 비용으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일 정보공개센터에 따르면 보증현황, 신용정보 조회 등의 서비스를 하는 대한주택보증공사의 ‘대한주택보증 사이버 영업점’ 앱은 1억 8천만 원을 들여 만들었으나 안드로이드 버전만 서비스됐으며 136명만이 내려받았다. (2012년 2월 23일 기준)

국가기록원 정보검색, 열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기록원’ 앱은 1억 5천만 원 이상의 개발비를 들였으나 이 앱의 다운로드 건수도 약 580건에 그쳤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광명경륜장 내방고객 대상으로 모바일 경주권을 발매하는 ‘그린카드’ 앱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제작비는 1억 6천만 원인 데 비해 지난 3월 12일까지 사용자는 850명이었다.

정책 홍보성 앱도 예외는 아니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쌤쌤퍼즐’ 문화체육관광부의 ‘새만금아리올’ 한국산업인력공단의 ‘2011년 기능한국인’은 해당 정책과 사업을 홍보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앱이다.

이 앱들은 모두 2천만 원 이상의 제작비가 들었는데 ‘쌤쌤퍼즐’은 10건, ‘새만금아리올’은 안드로이드와 iOS 버전을 합쳐 500여 건, ‘2011년 기능한국인’은 통합 200여 건의 다운로드로 무척 낮은 활용도를 드러냈다.

최소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 대에 이르는 개발비를 들인 공공앱이 국민들에게 외면받는 이유와 관련돼 앞서 보고서에서는 “콘텐츠 내용이 기관·정책안내, 여행·지역안내로 편중돼 쌍방향 소통을 강화한 효능감있는 다양한 공공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사용자 이용환경 디자인의 낙후성 및 불충분한 앱 소개도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동대 김현기 교수는 “공공기관을 자주 찾는 사람들은 중년층인데 이들 중에 앱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며 “중년층에게 스마트폰 교육을 하는 것도 공공기관 어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