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윤 소설가

진나라 왕의 회담 제의를 받은 조나라 왕은 면지로 떠나기에 앞서 대장군 염파의 다짐을 받았다. 만약 30일이 지나도 회담에서 조왕이 돌아오지 않으면 태자를 왕으로 즉위시켜 진나라의 야망을 꺾겠다고 했다. 조왕은 그 말을 허락한 뒤 인상여와 회담 장소로 떠났다. 진왕은 조왕을 맞이하여 회담장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주연이 한창일 때 진왕이 조왕에게 권했다. “전부터 조왕께서는 음악을 좋아한다는 말을 들었는데 어디 한 번 슬(현악기 일종)이라도 연주해 주시기 바라오.” 그 부탁에 조왕이 슬을 연주하고 나자 진나라 기록관이 앞으로 나와 ‘모년 모월 모일에 진나라 왕은 조나라 왕과 회담하고 슬을 연주하게 하였다.’고 기록했다.

그 분위기에 조왕 옆에 있던 인상여가 진왕 앞으로 나아갔다. “진나라 왕께서는 진나라 음악을 잘하신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마침 좋은 기회이니 분부(기와로 만든 술잔 같은 진나라 악기)로 반주하시면서 옥음을 들려주시면 같이 즐기겠습니다.” 진왕은 거절했다. 부복을 하고 있던 인상여는 진왕 앞으로 바싹 다가가서 무릎을 꿇고 다시 청했다. 그래도 진왕이 응하지 않자 인상여가 은근히 협박을 했다. 대왕과 저는 가까운 거리에 있으니 만약 승낙하지 않으시면 목숨을 해치겠다고 속삭였다. 진왕의 신하들이 인상여를 칼로 베라고 소리쳤다. 인상여는 그 말에 다가오는 호위 군사들을 큰소리로 꾸짖자 모두 물러섰다. 진왕은 난관에 부닥치자 내키지 않았지만 분부를 한 번 때렸다. 인상여가 조나라 기록관을 불렀다. “모년 모월 모일에 진나라 왕이 조나라 왕을 위하여 분부를 쳤다.”라고 기록하도록 했다.

그런 다음 시간이 좀 지나자 진나라 신하들이 조왕에게 “우리 대왕의 장수를 축하하는 뜻에서 귀국의 고을 15개를 올리면 좋겠습니다.” 그 말을 받아 인상여가 나섰다. “귀국이야말로 우리 대왕의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에서 도읍인 함양을 올리시오.” 하고 받아 넘겼다. 술자리가 끝날 때까지 결국 진나라는 조나라를 굴복시키지 못했다. 조나라도 호위병을 즉시 늘려 진나라의 움직임에 대비했기 때문에 진나라는 손을 쓸 수가 없었다. 조나라 왕은 회담이 끝나고 귀국하자 인상여의 공을 인정하여 상경(대신)에 임명했다. 그의 승진은 염파 대장군보다 윗자리였다. 그 조처로 염파는 기분이 나쁠 수밖에 없었다.

“나는 조나라 대장군으로서 수많은 전쟁에서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켰다. 인상여는 입으로만 일을 꾸몄는데 지위는 나보다 더 높아졌다. 더구나 그는 비천한 출신이다. 그런 사람 밑에서 일할 수 없다”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심지어 놈과 마주치면 관두지 않겠다고 별렀다. 인상여는 그 소문을 듣고 될 수 있는 한 염파와 마주치지 않도록 조심했다. 조정에 나가는 것도 병을 구실로 삼갔다. 조정에서 염파와 서열 관계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어느 날 인상여가 외출했을 때 염파가 먼 곳에서 오는 것이 목격되었다. 그는 하인들을 재촉하여 옆길로 도망쳤다. 인상여 가신들은 그 일로 참을 수가 없었다. “우리가 당신 밑에서 일하는 것은 당신의 높은 뜻을 흠모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당신은 염파와 같은 서열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염파를 두려워하여 숨어 버렸습니다. 재상이면서도 보잘것없는 백성도 수치로 아는 일을 하고 계십니다. 부끄럽지도 않습니까? 도대체 이유가 무엇입니까?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어 저희들은 떠나갈까 합니다.” 인상여는 그들에게 물었다.

“그대들은 진나라 왕과 염파 장군 중에서 어느 쪽이 더 두렵다고 생각하는가?” 가신들이 답했다. “물론 진왕입니다.” 그 말에 인상여가 “나는 진나라 궁전에서 진왕을 당당하게 대했소. 그의 신하들도 어린애처럼 다루었소. 그런 내가 왜 염 장군을 두려워하겠소. 나는 이렇게 생각하오. 강대국인 진나라가 우리 조나라를 공격하지 않는 것은 염 장군과 내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오. 만약 우리 두 사람이 다투게 된다면 어느 쪽이든 상처를 입게 될 것이오. 그렇게 되면 좋아 할 것은 진나라요. 내가 이렇게 처신을 하는 것은 개인의 다툼이 아니라 국가가 중요하기 때문이오. 이제 내 뜻을 알겠소?” 이 말을 전해들은 염파는 웃옷을 벗고 회초리를 등에 지고 인상여를 찾아가 사죄를 했다. “이 어리석은 자를 잘 살펴주시기 바라오. 선생의 관대한 마음을 소생은 알지 못했습니다.” 두 사람은 그 일을 계기로 다시 사이가 좋아졌다. 그 뒤 두 사람은 ‘문경의 교우(목이 잘려도 후회 없는 교우관계)’를 맺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