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 (사진=이혜림 기자) ⓒ천지일보(뉴스천지)

“동족이 죽어가도 침묵하는 정치인이 어찌 나랏일 할 수 있나”

팝캐스트… 평화음악회… “찾아가는 운동 전개”
“핵안보정상회의 참석 정상에 심각성 알릴 계획”
“외교적 총력” 요구… 국제사회와 中 압박 주장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북한 탈북자문제는 여야, 좌우, 이념, 신념과는 별개이자 인간 고유의 생명권에 대한 것이다.”

19일 오후 의원실에서 만난 ‘탈북자의 대모’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거침없었다. 탈북자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와 열정이 인터뷰 내내 박 의원의 목소리에서 뿜어져 나왔다.

◆작은 그녀의 큰 울림

40㎏의 박선영 의원이 탈북자 북송저지를 외치다 단식 11만에 실신했던 효자동 중국대사관 앞에선 제2기, 제3기 단식팀이 결성돼 탈북자 북송금지를 촉구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작은 박 의원이 ‘외교 문제’라며 소극적으로 대처한 정부와 멀리 있다고 모른 척했던 국민을 움직이고 있다.

그가 탈북자 북송저지를 외치며 실신하기 전까지 우리 사회에서 탈북자 인권문제는 그저 많은 인권문제 중 하나쯤으로 치부됐다. 그러나 단식 후 몸을 돌볼 틈도 없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이사회에 참관해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를 지적하고 돌아오는 그를 보며, 정치적 쇼가 아닐까라는 의구심으로 바라보던 이들도 그의 진정성에 힘을 보태기 시작했다.

◆학자의 양심으로 ‘단식’

단식으로 쓰러진 직후 박 의원의 헤모글로빈 수치는 정상인의 10분의 1에도 못 미쳐 감염을 막기 위해 한동안 외부인과 접촉이 차단되기도 했다.

단식으로 평소 46㎏이던 체중이 40㎏으로 내려가자 “공짜로 다이어트를 했다”며 아픈 중에도 여유를 보였던 박 의원은 요즘 가장 바쁜, 그리고 가장 사랑받는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가냘픈 그가 단식에 나섰던 이유는 단순하다. 헌법을 전공한 그의 학자적 양심 때문이었다. 대한민국 헌법 제2조에 기재된 재외국민 보호조항에 탈북자도 해당하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는 것을 보고 ‘겁 없이 덜컥’ 단식에 나섰던 것이다.

◆이미 동포인권 문제의 대모

사실 그는 이미 사할린 동포, 카레이스키, 위안부 할머니 등 우리 국민의 인권에 관한 문제에 다 관여했다. ‘사할린의 꽃’ ‘납북자의 수호천사’라고 불린 적도 있다.

탈북자 인권문제를 국제적 관심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쉴 새 없이 바쁜 그를 만나 최근 근황과 향후 계획 등을 들어봤다.

박 의원은 “우리 정부는 패배주의적·사대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중국에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중국에 대해 “UN난민협약과 UN고문방지협약에 가입한 나라”로 지적하며 “G2(주요 2개국) 국가, 선진국, 세계를 이끌만한 지도자급 나라가 되려고 한다면 국제협약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스위스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를 방문한 후 귀국하는 자리에서 탈북자 특위 구성·탈북자 청문회 개최를 제안했다. 현재 진행상황은 어떠한가.

“단장인 김형오 전(前) 의장이 총리 면담 신청을 해놓았고, 조만간 면담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회는 탈북자 특위를 빨리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만들어 달라고 해도 만들어주지 않았다. 무엇보다 일하는 특위가 아닌 위원장 자리 나눠 먹는 특위, 해외여행이나 가는 특위는 필요 없다.”

― 북한 대사관에 탈북자를 왜 강제북송하면 안 되는지 외교적으로 정리한 서신을 전달했는데, 반응은 있나.

“반응이 전혀 없다. 우리가 서신을 전달했다는 것만으로도 큰 발전이다. 처음 있는 일이다. (북한 대사관에서) 읽어봤을지는 모르나 모두 알려진 내용이다. 그 자체로 큰 의미 있다고 본다.”

― 탈북자문제가 국제적인 이슈로 계속 주목받기 위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정부는 주권국가로서의 면모를 다져야 한다. 탈북자문제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에 대해 중국에 아무 말도 못 한다. 이번에도 문제 제기를 했다고는 하나 ‘중국’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다. ‘관련국’ ‘이웃나라’로 표현했다. 중국 어민이 우리 해경을 무참하게 살해하는데, 정부가 한 번이라도 제대로 된 이야기를 했는가. 해경이 총도 못 쏘게 했다. 이는 우리 스스로 중국에 대한 패배주의적·사대주의적 사고를 가진 것이다. 그런 패배주의적·사대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중국에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수준이 돼야 한다.”

― 탈북자 강제북송 저지를 위한 다양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안다.

“중국대사관을 벗어나 찾아가는 운동을 하고 있다. 25일과 27일에는 명동에서 대규모로 할 계획이다. 특히 26일 대사관 앞에서 인터넷 팝캐스트와 2천~3천명 정도가 참석하는 평화음악회가 열린다. 서명운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6일부터 서울핵안보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각국 정상에게 탈북자문제의 심각성을 알릴 계획이다. 중국이 그토록 탈북자들을 색출하고 북송을 시켰지만 그 와중에도 제3국으로 탈출한 분들이 있다. 그분들을 맞이하고 안전한 곳으로 모실 수 있는 역할을 하기 위해 20일 (제3국으로) 출국한다.”

― 앞으로 UN에서 탈북자문제에 대해 어떤 조치를 할 것으로 예상하나.

“일단 UN인권이사회에서 이번 주말쯤 북한인권 결의안이 다시 나올 것이다. 결의안에 탈북자문제가 더욱 강력하게 들어간다. UN인권이사회에서 북한 탈북자문제를 다룬 게 이번이 처음이다. 40년이 넘도록 탈북자문제가 곪을 대로 곪았는데도, UN인권이사회에서 처음으로 제기했다. 인권 차원에서 정치적인 요소, 이념적인 요소를 모두 빼고 본질적인 문제만 제기할 수 있도록 외교적인 총력을 기울여서 중국을 다른 나라와 압박해야 한다.”

― 중국 정부에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와 관련해 어떤 조치를 요구해야 하나.

“중국은 UN난민협약과 UN고문방지협약에 가입한 나라다. UN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기도 하다. 중국이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선 자국이 비준하고 발효한 협약을 당연히 지켜야 한다. 법을 만들어놓고 지키지 않는다면 국민이 탄핵을 할 정도라고 본다. 중국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G2(주요 2개국) 국가, 선진국, 세계를 이끌만한 지도자급 나라가 되려고 한다면 국제협약을 지켜야 한다. 그들이 가입하고 비준한 각종 국제법을 지키라고 요구해야 한다.”

― 정부와 국민에 당부하고 싶은 말은.

“세계 속에서 인권지수가 얼마나 높으냐에 따라 국격(國格)이 달라진다. 정부는 그동안 탈북자문제를 말하지도 않았고, 심지어 말하려는 사람의 입까지 틀어막으려고 노력해 왔다. 이제 우리 정부가 ‘조용한 외교’에서 벗어나겠다고 하는데, 매우 늦었다. 보다 적극적인 외교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정치권은 정신을 차려야 한다. 내 동족의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도 침묵하는 정치인이 어떻게 나랏일을 할 수 있겠는가. 우리 국민도 인간의 존엄을 최소한도도 유지하지 못하는 같은 민족의 아픔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언론은 부르르 끓다가 금방 식어버리는 측면이 있다. 언론이 좀 더 탈북자의 아픔과 고통, 인권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주길 바란다.”

<박선영 의원은 누구인가>

1956년 강원도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박 의원은 MBC 보도국 기자로 13년간 활동했다. 그는 지난 2008년 4.9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한 후 ‘역대 최장수 여성 대변인’이라는 호칭을 얻기도 했다. 대변인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자유선진당 정책위 의장을 맡았다. 현재 의원 외교협의회 한·러 위원, 도미니카공화국 의원친선협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박 의원은 최근 탈북자 문제해결을 촉구하면서 국민적 관심을 끌어냈다. 지난달 21일부터 중국 대사관 앞에서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단식농성을 벌이다 지난 2일 탈진해 병원으로 후송되기도 했다. 지난 10~15일에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이사회를 방문해 탈북자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