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장요한 기자] 해마다 고가 논란을 빚어온 중고교 교복가격이 올해도 올랐다. 지난해와 비교해 10~20%가량 인상되자 대형 교복업체의 가격 담합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이들 업체의 부당행위 등에 대해 전면 조사에 들어갔다.

무엇보다도 이 모든 부담은 고스란히 학부모에게 돌아가고 있다. 이에 대해 교복업체들은 물가인상 등을 이유로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학부모들은 높은 인상률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외고의 70만 원대 교복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렇게 교복 값이 비싸지는 데는 교복 시장의 환경과 유통구조가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 중고교생의 교복착용은 개화기로부터 1982년까지는 개개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실시됐다. 그러나 정부가 1982년 ‘두발자율화’ 조치를 내린데 이어 1983년 ‘교복자율화’가 이뤄지면서 중고생들의 의복생활이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됐다.

그렇지만 이후 여론은 ‘교복자율화’에 대해 청소년 범죄를 부추기고 빈부 간 위화감을 조성하는 한편 사치풍조의 원인이 된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이에 교육부는 다시 교복 입기를 허용했다. 1986년부터는 교복을 입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처음에는 전체의 1%에 불과한 40여 개 학교에서 교복을 입다가 점차 증가세를 보였다.

교복 부활 이후 착용률은 매년 증가해 2000년 전국 4668개교(중학교 2731개, 고교 1957개) 중 약 95%의 학교에서 입었고 2005년에는 96.5%로 늘어났다. 2007년에는 2.8%가 감소한 93.7%였다가 2011년에는 학교 5441개(중학교 3156개, 고교 2285개) 중 97%가 교복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990년대 이후 교복제도를 채택하는 학교가 급증하면서 국내 교복 시장도 급성장하게 됐다. 특히 SK네트웍스의 스마트, 제일모직의 아이비클럽, 에리트 베이직의 엘리트, 그리고 가장 후발업체인 스쿨룩스를 포함한 4개 대형 교복업체가 교복 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일모직의 학생복 사업부로 출발한 아이비클럽의 경우는 2001년 독립했다.

대기업 교복 브랜드가 출현하면서 영세 교복업체를 중심으로 제작됐던 과거의 맞춤 형태 교복에서 기성복 시장으로의 변화가 시작되고 이후에는 대부분 공급이 대기업을 통해 이뤄졌다.

그런데 교복은 일반 의류와 같이 상시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시즌영업으로 전체 판매가능 물량이 고정돼 있는 특성이 있어 판매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또 대형업체의 경우 지역대리점이 판매수량을 예측해 주문하면 제조업체들이 협력업체 하청을 통해 생산해 납품하는 유통구조다. 이로 인해 교복업체 간 경쟁은 심화됐고 부작용도 나타났다.

실제로 공정위는 지난 2001년 3대 교복업체의 가격 담합 행위를 적발해 11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2007년에는 학부모의 교복 공동구매 방해 행위, 허위과장 광고 행위, 부당 경품제공 행위 등을 한 업체에 대해 과징금부과 및 시정조치를 했었다.

2009년에도 학교 규정에 어긋나는 소위 변형교복을 판매한 교복업체들이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형 교복업체 간 가격담합 의혹이나 비싼 스타 연예인 광고 등 업체들의 교복 값 거품 여부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