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 우리나라에는 500여 개가 넘는 사회적기업이 존재한다. 서울시도 2010년부터 ‘서울형 사회적기업’이라는 이름하에 이들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형 사회적기업에 대한 발전방향을 재설정하고 개선방안 등을 내놓아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어린이문화예술학교’에서 진행하는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아이들이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공: 어린이문화예술학교)

 

[천지일보=박수란 기자] “어린이문화예술학교는 어린이와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연극을 통해 마음을 치유하고 사회성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교육을 해요. ‘교육연극’이라고 하죠.”

어린이문화예술학교는 1997년에 설립된 전문예술단체다. 아이들이 연극에 직접 참여해 마음을 치료받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미희 공동대표는 “일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회비를 걷어 교육을 한다”며 “문화소외계층에게는 연극놀이프로그램 등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어린이문화예술학교는 이익창출보다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 대표는 “우리 회사가 처음부터 사회적기업은 아니었다. 수익을 좀 더 가치 있는 일에 써보자는 생각에서 설립하고 2년 뒤인 1999년 처음으로 고아원에 찾아가 아이들을 상대로 인형극을 보여주고 아이들을 연극에 참여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냥 좋은 일을 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한 것이 요즘에 와서 사회적기업으로 정의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사회적기업’은 이윤을 최우선으로 강조하는 기존의 기업관을 탈피,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일컫는다.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해결문제와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한 공급확대방안으로 시작됐다. 사회적기업은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는 기관이기도 하다.

어린이문화예술학교는 2010년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돼 인건비 등의 지원을 받았고 2011년 말에는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장애어린이축제, 다문화가정, 지역아동센터 대상으로 문화예술프로그램 4개 사업을 진행했다.

“지역아동센터 아이 대부분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어 자존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이에요. 연극놀이와 발표회를 통해 자신감을 많이 얻어 가요.”

아울러 이 단체는 우리나라 문화를 강요받는 다문화가정의 엄마들을 위해 ‘특별한 책’을 펴낼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책에는 자신의 나라를 배우자나 아이에게 소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랑의 일터’에서 한 장애인이 빵·제과 등을 직접 굽고 있다. (사진제공: 사랑의 일터)

또 다른 사회적기업인 ‘사랑의 일터’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로 장애인들이 제과점 빵과 쿠키를 직접 만들어 제품을 판매하도록 돕는 곳이다. 이곳도 2010년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받았다. 중증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인건비를 지원받는다.

이인숙 팀장은 “8~10명 정도 인원을 충원해 사업을 확장할 수 있었다”며 “사회적기업으로 어느 정도 안정이 되면서 여러 가지 노하우를 문의하는 경우도 꽤 있어 경험담을 얘기해 준다”고 말했다. 혼자 판매를 하고 홍보·배달을 했던 때보다는 인원이 충원돼 훨씬 일이 수월해졌다고 한다.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면 처음 1년은 인건비가 100% 지원됐다가 2년째가 되면 60%로 줄어든다. 이미 인원이 충원돼 인건비 지출이 늘어난 상태에서 지원이 줄어든 부분만큼 이를 충당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익창출 및 자립도가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사회적기업으로 자리를 잡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이 팀장은 “최악의 경우 확장하려다가 오히려 문을 닫게 되는 경우도 있다”면서 “무엇보다 준비기간을 충분히 가지고 기업구조를 정비한 상태에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희 대표도 자립도를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인건비를 지원받는 것은 좋다. 다만 지원받는 것이 다가 아니다. 사회적기업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사업이 있다”며 “동시에 재정자립도 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기업형으로 갈 수 있는 곳만이 사회적기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과 연계해 재정자립도를 높이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이들은 하나같이 기업의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런 맥락에서 서울시는 지원 방식을 전환할 방침이다. 그간 단편적인 인전비 지원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바꿀 계획이다. 다시 말해 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보다 자생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한편 시는 2009년 서울형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조례 및 시행규칙을 마련하고 2011년을 기준으로 총 411개의 기업을 지정했다. 사회복지분야 149개, 문화교육 130개, 보건보육 56개, 환경 76개 등의 분야에 걸쳐 선정했다.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될 경우 1년 동안 신규 채용인력에 대해 기업당 최대 50명까지 1인당 월 98만 원, 전문 인력 1명의 경우 월 15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받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생력이 약하면 아예 문을 닫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따라서 인건비 지원보다는 실질적인 사업개발비, 판로개척, 교육 등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시는 오는 7월부터 설립 예정인 ‘사회적기업 개발센터’ 운영할 계획이다. 향후 개발센터는 사회적기업 지원의 허브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