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가 올린 주식 63%, 열흘 내 하락

[천지일보=김일녀 기자] 증권사들이 해당 종목의 목표주가를 올리면 실제 주가는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 중 10거래일 뒤 주가가 내린 사례는 63%에 달했다. 이에 반해 주가가 오른 것은 37%에 불과했다.

증권사들이 기업 전망을 긍정적으로 분석해 제시했지만 자산운용사 등 기관에 미리 유출되면서 목표주가와 실제 주가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특히 목표주가 인상 전 수익률이 오히려 더 나은 수준을 보였다. 상향 조정 10거래일 전과 조정 당일 주가를 비교했을 때 상승한 경우는 59%(138건), 변동 없거나 내린 사례는 41%(97건)였다.

이는 애널리스트의 조사 분석 자료가 일괄적으로 발표돼야 함에도 펀드매니저 등에게 사전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애널리스트가 조사 결과를 펀드매니저에게 먼저 알려주고 펀드매니저가 해당 주식을 사전 매수, 목표주가 상향 발표돼 주가가 오르면 차익을 실현하는 것이다.

결국 상대적으로 정보력이 뒤지는 개인 투자자들만 증권사의 보고서를 믿고 해당 종목을 샀다면 손해 봤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금융당국이 미공개 정보 이용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8월 금융감독원은 S증권사와 소속 애널리스트 간 규정 위반 사례를 적발해 해당 증권사는 기관경고의 중징계를 받았고 애널리스트는 경징계 조치된 바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애널리스트만의 문제가 아니라 증권업계 전반적으로 ‘준법의지’가 부족한 데서 기인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투자자들은 리포트를 무조건 믿기보다 자기 목표에 맞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주가란 기업의 모멘텀과 수급이 조합된 산물인 만큼 무조건 맹신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미공개 정보를 위법적으로 전달하는 데 대해 어느 수준의 정보 제공이 규정 위반인지 기준이 모호한 만큼 명확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